한국시사경제 김숙영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AI 순찰로봇과 첨단 감지 센서를 활용한 ‘과학치안’ 도입으로 도민 안전 강화에 나선다.
전북자치경찰위원회는 전주대학교,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전북본부와 함께 신청한 경찰청 ‘자치경찰 수요기반 지역문제 해결 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돼, 2027년까지 총 18억 6천만 원(국비 14억 6천만 원, 도비 4억 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사업은 범죄 취약 지역에 AI 순찰로봇과 불법촬영 감지 시스템을 시범 도입해 실증하고, 과학기술 기반 치안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우선 천변 산책로 등 범죄취약 지역에 AI 순찰로봇이 투입할 계획이다. 투입되는 AI 순찰로봇은 영상과 음향을 실시간 분석해 이상행동이나 위험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즉시 경고방송을 송출하거나 112와 연계해 신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기존 고정형 CCTV의 한계를 보완하고, 도민이 체감하는 안전도를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공중화장실 내 불법촬영 범죄 예방을 위한 첨단 감지 기술도 도입된다. 주요 관광지 등 공중화장실을 대상으로 비가시(非可視) 센서 기반의 불법촬영 감지 시스템을 시범 설치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은 촬영 시도를 감지하면 즉시 경고음을 울리고 자동으로 112에 신고가 접수된다. 기존의 카메라 렌즈 탐지 방식과 달리 전파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술을 활용해 촬영 각도나 위치에 관계없이 정밀 탐지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실효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전북자치경찰위원회는 상반기에 시범대상지를 선정하고, 향후 3년간 사용자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시스템 개발과 현장 실증을 통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연주 전북자치경찰위원장은 “이번 경찰청 공모사업 선정은 전북이 과학기술 기반 치안정책을 선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이라며 “도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과학치안의 중심지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