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시사경제 문화팀 | 아산시가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시민 참여 기반의 위기가구 발굴과 모니터링 체계’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
최근 실직, 폐업, 갑작스러운 질병, 장애 등으로 어려움에 놓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행정 인력만으로는 모든 위기가구를 신속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이에 시는 시민들이 주변의 위기 상황을 적극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신고 포상제’를 운영하고 있다.
도움이 필요한 가구를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신고해 해당 가구가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구 또는 위기가구(사례관리 대상)로 결정될 경우 건당 2만 원의 포상금이 지급된다. 동일 신고자는 연간 최대 2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다.
시는 발굴된 위기가구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시민 모니터단’ 활동도 확대 운영한다. 모니터단은 취약·위기가구와 사례관리 종결가구 등을 정기적으로 방문해 생활 상황을 살피고 추가 지원이 필요한지 여부를 점검한다.
한 가구를 발굴해 3회 이상 모니터링을 실시할 경우 2만 원의 현장 활동비가 지급된다. 이는 복지 사각지대의 위기 신호를 조기에 발견하고 지속가능한 보호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조치다.
김민숙 아산시 사회복지과장은 “이웃의 작은 관심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평소와 다른 어려움이 감지되면 망설이지 말고 알려 달라. 시민들의 참여가 아산의 안전망을 더욱 든든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한편 아산시는 앞으로도 시민과 함께 복지 사각지대를 세심하게 살피고, 위기에 놓인 이웃을 가장 먼저 발견해 지원하는 지역 안전망을 더욱 견고히 해 나갈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