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사경제 윤경수 기자 | 최근 전국적으로 음식점에 전화로 예약을 한 뒤 나타나지 않는, 이른바 ‘노쇼(No-Show)’ 피해가 급증하는 가운데, 단순한 예약 부도를 넘어 사기에 가까운 신종 수법이 합천군 내에서도 발생하고 있어, 음식점 업주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유명 연예인이나 영화 촬영팀, 각종 단체를 사칭해 고가의 물품 구매를 유도하는 수법은, 영세 자영업자들에게 심각한 금전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합천군 내 발생한 신종 ‘노쇼’ 사기 사례]
합천군 삼가면의 한 한우 전문 식당은 최근 자신들을 영화 촬영팀이라고 소개하며, 20명 규모의 예약과 함께 배우가 선호한다는 300만 원 상당의 특정 와인을 준비해달라는 전화를 받았다.
사기범들은 “해당 와인은 특정 사이트에서만 구매할 수 있다”며 링크까지 전달했지만, 식당 사장은 “주류 반입은 불가하다”고 단호하게 거절해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이후에도 같은 식당에 두 차례 더 촬영팀을 사칭한 예약 시도가 있었지만, 사장이 계약금을 요구하면서 모두 피해를 예방했다.
해당 식당사장은 즉시 합천군과 연예인 측에 사실을 신고했고, 군은 곧바로 관내 음식점을 대상으로 피해 사례를 공유하고 예방 홍보를 강화했다.
점검결과, 삼가면과 야로면에 위치한 한우 판매점 2곳에서는 추가적인 노쇼 사례가 확인됐다.
서원호 환경위생과장은 “최근의 노쇼는 단순한 예약 부도를 넘어선 치밀한 사기 수법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고가의 와인 등 특정 물품 구매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선결제를 요구하거나, 단체 예약 시 계약금을 받아야 사기성 노쇼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합천영상테마파크, 각종 축제, 체육대회 등으로 인해 단체 예약이 빈번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대규모 단체 예약 시 음식점 업주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